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난청 증상, 치료, 지원금, 장애등급, 검사

by 감귤한양 2025. 3. 9.
반응형

난청은 귀가 정상적으로 소리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경미한 난청부터 심상 난청까지 다양한 단계가 있으며, 원인도 선천적인 요인부터 노화, 소음 노출, 질병 등 다양합니다. 난청이 진행되면 일상생활에서 대화가 어려워지고, 사회적 고립이나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정부의 지원금 및 장애등급 판정을 통해 보청기나 인공 와우 등의 보조기기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난청의 주요증상

난청은 진행 속도와 유형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일반적인 난청 증상

1. 대화 이해의 어려움: 상대방이 말하는 내용을 반복해서 물어보거나, 여러 명과 대화할 때 어려움을 겪습니다.
2. 소리 구별 어려움: 특정 음(특히 고주파수 소리)이 잘 들리지 않습니다.
3. TV 또는 음악 볼륨 증가: 주변 사람들보다 더 높은 볼륨으로 설정합니다.
4. 이명: 귀에서 '삐' 하는 소리가 지속적으로 들리는 경우 난청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전화 통화의 어려움: 상대방의 음성이 명확하지 않거나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난 청의 단계별 분류

1. 경도난청(Mild hearing loss): 작은 소리가 잘 들리지 않지만, 대화는 가능합니다.
2. 중등도 난청(Moderate hearing loss): 상대방의 말소리가 뭉개지거나 불분명하게 들립니다.
3. 중증 난청(Severe Heasring Loss): 큰 소리만 겨우 들리며, 보청기 없이는 대화가 어렵습니다.
4. 고도 난청(Profound hearing Loss): 대부분의 소릴르 듣지 못하며, 인공 와우(코클리아 이식) 필요 가능성이 있습니다.

난청 치료 방법

난청은 원인과 정도에 따라 다양한 치료 방법이 존재합니다.
1. 보청기 착용: 보청기는 난청 환자가 가장 흔히 사용하는 보조기기입니다. 최신 디지털 보청기는 주변 소음을 조절하고 특정 주파수를 증폭하여 보다 명확한 소리를 제공합니다. 경도~중증도 난청 환자들에게 주로 처방되는 치료법이며 귀걸이형, 귓속형, 오픈 형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2. 인공 와우 이식(Cochlear lmplant): 인공 와우 이식은 내이(달팽이관)에 전극을 삽입하여 청각 신경을 직접 자극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보청기로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고도 난청 환자들에게 적합합니다. 심한 난청~고도 난청 환자들에게 주로 처방되는 치료법이며 수술이 필요합니다.
3. 약물 치료: 감염이나 염증으로 인한 난청의 경우, 스테로이드나 항생제를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돌발성 난청(갑자기 청력이 저하되는 경우)에서는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돌발성 난청, 염증성 난청 환자들에게 주로 처방되는 치료법이며 스테로이드제, 혈액 순환 개선제 등이 사용됩니다.
4. 청각 재활 훈련: 난청 환자는 소리를 듣는 능력이 감소하여 뇌가 소리를 인식하는 기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청각 재활 훈련을 통해 보청기나 인공 와우를 효과적으로 활요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보청기 또는 인공 와우 사용자에게 주로 필요하며 소리 구별 훈련, 음석 인식 훈련 등이 있습니다.

난청 치료지원금(보청기 및 인공 와우 지원)

보청기 지원금

지원 대상: 장애 등록이 완료된 청각장애인
지원 금액: 보청기 1대당 약 131만 원(2024년 기준)
지원방법
1. 장애등급 판정 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신청
2. 보청기 구입 후 청구 가능

인공 와우 수술 지원

지원 대상: 심한 난청 이상 환자
지원 금액: 1회 수술비 약 700~ 1,000만 원 지원 가능
지원 방법
1. 이비인후과 전문의 상담 후 필요 여부 판단
2. 국민건강보험 및 지방자치단체 지원 프로그램 신청

장애등급 검사 및 청각장애 등록

난청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장애등급을 받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각 장애등급 기준(2024년 기준)

장애등급평균 청력 손실(dB 기준)보청기 사용 여부
2급 양쪽 90dB 이상보청기 착용해도 대화 불과
3급양쪽 80dB 이상보청기 사용해도 어려움
4급양쪽 70dB 이상보청기 착용 시 제한적인 의사소통 가능
5급 한쪽 90db 이상 & 다른 쪽 60dB 이상 보청기 착용 가능
6급한쪽 80dB 이상 & 다른 쪽 40dB 이상보청기 착용 가능

청각장애 등록 절차

1. 이비인후과 방문: 청력 검사 실시
2. 청각장애 진단서 발급
3.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 후 심사
4. 장애등급 판정 및 지원금 신청
주의사항: 장애 등급이 부여되지 않으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므로, 병원에서 검사 후 정확한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난청은 방치하면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지만, 조기에 보청기 착용, 인공 와우 이식, 재활 훈련 등을 통해 청력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에서 보청기 및 인공 와우 지원금을 제공하므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난청이 의심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정부 지원 혜택을 적극 활용하세요!

반응형

댓글